본문 바로가기

차와 자동차 회사/자동차 회사 생활백서

자동차 회사 생활백서 - 몸에 와 닿는 청년실업과 정책의 공전


산업 현장에서 직접 느끼는 청년실업의 현상




 청년 실업률이 10%를 넘어섰다고 하지요. 열 명 중 한 명은 일이 없어 놀고 있다는 소리 입니다. 10%는 편의점 같은 시급제 알바를 포함 한 수치이고, 범위를 ‘정규직’으로 좁히면 10%가 훌쩍 넘어갈 겁니다.



 인구 층에서 10대, 20대의 수가 가장 작다고 하는데, 가장 작은 인구 층에서 가장 높은 실업률이 나온다는 건 정말 큰 문제입니다. 그것도 한참 일해야 하는 중심 인구 층인데요.




자동차 회사 생활백서 - 몸에 와 닿는 청년실업과 정책의 공전1통계청 - http://kostat.go.kr




 글쎄요. 단순히 청년 실업률이 높다는 뉴스가 얼마나 많은 분들에게 와 닿을 지 모르겠습니다만, 최소 제가 일하고 있는 직장에는 확실히 느낄 수 있습니다. 




 우선 신입사원이 없습니다. 저는 2007년에 첫 직장생활을 시작했는데요. 이후 2008년에 한번, 2009년에 한번, 그리고 2011년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신입공채가 없었습니다. 더 정확히 이야기 하면 공채라는 제도가 사라졌다고 해야겠지요.



 모든 인력 충원은 수시모집으로 이루어 지며 대부분 경력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잘 안 와 닿으시지요? 그냥 이렇게 말씀 드리면 되겠네요. 2016년 현재 저는 여전히 팀 막내입니다!





자동차 회사 생활백서 - 몸에 와 닿는 청년실업과 정책의 공전2en.wikipedia.org






 새로 들어오는 사람도 없지만, 딱히 나가는 사람도 없습니다. 인원의 이동이 적습니다. 시간은 흐르고, 평균 연령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진급 적체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올라갈 때 까지 다 올라가면서 한 직급에 몰려버렸습니다. 



 모두 차장입니다. 제 왼쪽도 차장, 앞쪽도 차장, 모두모두 차장입니다. 사원, 주임, 대리는 눈을 씻고 찾아봐도 거의 없습니다. 심지어는 막내인 저조차 차장입니다. 팀장이 부장이면서 팀원이 부장인 경우도 있습니다. 정상적인 상황이 아님은 누가 봐도 명백합니다. 





자동차 회사 생활백서 - 몸에 와 닿는 청년실업과 정책의 공전3통계청 - http://kostat.go.kr





 가장 핵심 원인으로 몇 가지가 지목되지요. 낮은 경제성장률, 고령화, 그리고 경직된 고용시장이 대표적으로 꼽힙니다.(개인적으로 이 부분은 절반만 동의 합니다만...) 이들 문제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신규 일자리가 거의 없다시피 하고. 결국 이는 청년 실업으로 이어진다고 하지요. 물론 정부에서도 이를 타파하기 위해서 정부에서 다양한 정책을 내어놓고 있고요.





 문제는 2003년부터 꾸준히 나오고 있는 관련 정책이 거의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언론 보로에 따르면 이미 21개의 정책에 1조 이상의 예산이 투입되었고 합니다. 그런데 일반시민인 저는 효과를 별로 체감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현상유지라도 하면 다행인데, 꾸준히 안 좋아졌습니다. 오히려 최근에는 확 더 나빠진 느낌입니다.





자동차 회사 생활백서 - 몸에 와 닿는 청년실업과 정책의 공전4en.wikipedia.org





 제가 취업할 때만 해도, 10곳 정도 원서를 넣으면 2-3곳 정도 합격이 되었습니다. 2-3년 뒤에 취업 중인 후배,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으니 열 개를 넣으면 한 회사 정도 합격이 되었다고 하더군요. 지금은 서울대, 연고대 출신 실업자가 북적거립니다. 저 같은 공대 출신들이 사정은 조금 낫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취업 재수자를 흔하게 만날 수 있습니다.





자동차 회사 생활백서 - 몸에 와 닿는 청년실업과 정책의 공전5www.ppmwa.com.au





 경기가 나쁘니 회사가 성장하지 못하고, 경제가 성장하지 못하고, 신규 일자리의 수가 줄고, 개인의 살림살이가 팍팍해지고, 인구가 줄고 다시 경기가 나빠지는 악순환에 빠진 것 같습니다.



 악순환을 탈출하려면 고리를 끊어야 겠지요. 국가 정책의 역할이 바로 이 고리를 끊어내는 것 입니다. 그리고 안타깝게도 현재의 정책은 전혀 효과를 내고 있지 못한 것 같습니다. 정권에 따라 매번 바뀌는 정책기조, 재탕 삼탕의 주먹구구식 정책, 거기에 이마저도 사회적 반대에 부딪쳐 제대로 돌아가지 않고 있습니다.





자동차 회사 생활백서 - 몸에 와 닿는 청년실업과 정책의 공전6en.wikipedia.org





 저출산이 어떻고, 고용시장이 어떻고 등등 이런저런 다양한 의견들이 많습니다. 글을 통해서 어떤 것이 정답이다. 라고 말씀드릴 수도 없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건, 정책의 공전은 입안자들의 직무유기입니다. 매번 기조가 바뀌는 건, 반대에 부딪치는 건, 정책에 대한 대승적인 사회적 합의가 없기 때문입니다. 시간을 들이지 않은 급조된 정책은 필연적으로 반대에 부딪칠 수 밖에 없습니다. 반대에 부딪친 정책은 공전할 수 밖에 없습니다.



 늦었다고 생각될 때가 가장 빠른 때 입니다. 노사정 위원회와 같이 겉핥기식 협의체는 필요 없습니다. 진정성이 필요합니다. 국민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무제한 토론, 정책 설명회가 동단위, 시단위로 계속 이루어진다면 과연 사회적 합의가 불가능하기만 할까요? 



 기득권 층이 모든 걸 다 내려놓고 진정으로 합의를 끌어낸다면 정녕 지금과 같은 상황이 반복되지 않을거란 생각입니다. 하루 빨리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이 수립되어, 청년들이 살기 좋은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른 포스팅을 보려면 클릭하세요)